패캠 네카라쿠배 도전: HTML CSS

[패캠 네카라쿠배 2기] 2차 테스트 - 8일차 데이터 구조6: 해쉬 테이블

닉네임이 멋이 중헌디 2021. 6. 23. 20:53

대표적인 데이터 구조6: 해쉬 테이블 (Hash Table)

1. 해쉬 구조 

cf. Hash : 이를 확장한 알고리즘들이 많은 ex. 블록체인 

  • Hash Table: 키(Key)에 데이터(Value)를 저장하는 데이터 구조
    • 배열에서는 원소를 검색할 때 하나하나 찾는다면 hash table은 바로 Trump를 구할 수 있다 
    • Key를 통해 바로 데이터를 받아올 수 있으므로, 속도가 획기적으로 빨라짐
    • 파이썬 딕셔너리(Dictionary) 타입이 해쉬 테이블의 예: Key를 가지고 바로 데이터(Value)를 꺼냄
    • 보통 배열로 미리 Hash Table 사이즈만큼 생성 후에 사용 (공간과 탐색 시간을 맞바꾸는 기법) // 해쉬테이블을 내부적으로 구현할 때는 배열로 만들 수 있다// 공간을 늘려서 충돌이 일어나지 않도록 만들어서 탐색 시간과 맞바꾼다 (탐색을 하면서 더 썼을 시간을 쓰지 않고 공간을 늘린다) 
    • 단, 파이썬에서는 해쉬를 별도 구현할 이유가 없음 - 딕셔너리 타입을 사용하면 됨2. 알아둘 용어[알아둘 용어]
      • 해쉬(Hash): 임의 값(data)을 고정 길이로 변환하는 것 
      • 해쉬 테이블(Hash Table): 키 값의 연산에 의해 직접 접근이 가능한 데이터 구조 (데이터를 저장할 공간) // 
      •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키를 해시 함수에 넣어 해시 주소를 구하는데 그 주소가 해시 테이블과 연결
      • 해싱 함수(Hashing Function): Key에 대해 산술 연산을 이용해 데이터 위치(해시 주소)를 찾을 수 있는 함수 -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내가 만들면 되는 것 
      • 해쉬 값(Hash Value) 또는 해쉬 주소(Hash Address): Key를 해싱 함수로 연산해서, 해쉬 값을 알아내고, 이를 기반으로 해쉬 테이블에서 해당 Key에 대한 데이터 위치를 일관성있게 찾을 수 있음
      • 슬롯(Slot): 한 개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
      • 저장할 데이터에 대해 Key를 추출할 수 있는 별도 함수도 존재할 수 있음
    • 3.1. hash table 만들기 // 전화번호부 만들기 (알파벳에 따라 나눈다)
    • In [1]:
      hash_table = list([i for i in range(10)])hash_table
    • Out[1]:
    • [0, 0, 0, 0, 0, 0, 0, 0, 0, 0]
    •  
      • 3.2. 이번엔 초간단 해쉬 함수를 만들어봅니다.
        • 다양한 해쉬 함수 고안 기법이 있으며, 가장 간단한 방식이 Division 법 (나누기를 통한 나머지 값을 사용하는 기법)

        def hash_func(key):
            return key % 5

        3.3. 해쉬 테이블에 저장해보겠습니다.

        • 데이터에 따라 필요시 key 생성 방법 정의가 필요함

        In [15]:

         

        data1 = 'Andy'

        data2 = 'Dave'

        data3 = 'Trump'

        data4 = 'Anthor'

        ## ord(): 문자의 ASCII(아스키)코드 리턴

        print (ord(data1[0]), ord(data2[0]), ord(data3[0]))print (ord(data1[0]),

        hash_func(ord(data1[0])))

        print (ord(data1[0]), ord(data4[0]))

        65 68 84 65 0 65 65

         

        • 3.3.2. 해쉬 테이블에 값 저장 예
          • data: value 와 같이 data 와 value를 넣으면, 해당 data에 대한 key를 찾아서,
          • 해당 key에 대응하는 해쉬주소에 value를 저장하는 예
      def storage_data(data, value): // 넣고 싶은 data와 저장하고 싶은 값
    • key = ord(data[0]) // data를 이용해 key를 만들고 : 이름의 첫 알파벳의 Ascii code
    • hash_address = hash_func(key) // key를 해시 함수를 넣어서 주소를 만들고 
    • hash_table[hash_address] = value // 주소를 이용해 slot을 만든다 
    •  
    • 3.4. 해쉬 테이블에서 특정 주소의 데이터를 가져오는 함수도 만들어봅니다.
    • In [12]:
    • 넣는 함수 
    • storage_data('Andy', '01055553333')
    • storage_data('Dave', '01044443333')
    • storage_data('Trump', '01022223333')
  • 가져오는 함수 
  • def get_data(data):
        key = ord(data[0])
        hash_address = hash_func(key)
        return hash_table[hash_address] 
  •  
  • get_data('Andy')
  • Out[14]:
  • '01055553333'

    • 4. 자료 구조 해쉬 테이블의 장단점과 주요 용도
      • 장점
        • 데이터 저장/읽기 속도가 빠르다. (검색 속도가 빠르다.)
        • 해쉬는 키에 대한 데이터가 있는지(중복) 확인이 쉬움
        • // ex. Andy에 대한 번호가 있는지 바로 확인하기 쉽다 
      • 단점
        • 일반적으로 저장공간이 좀더 많이 필요하다. // 해쉬 테이블이 내가 필요한 공간 이상으로 잡아놓아야 한다 (그 이유: 적게 잡아놓으면 
        • 여러 키에 해당하는 주소가 동일할 경우 충돌을 해결하기 위한 별도 자료구조가 필요(그러므로 공간을 많이 잡아놓는 것이 좋음 : 애초에 충돌을 피하기 위해) ex. Andy, Andrew처럼 key가 A로 같아서 ascii code가 같아 해쉬테이블의 같은 공간에 들어가려고 충돌할 수 있음
      • 주요 용도
        • 검색이 많이 필요한 경우
        • 저장, 삭제, 읽기가 빈번한 경우 // 배열은 매번 힘들기 때문에
        • 캐쉬 구현시 (중복 확인이 쉽기 때문) // 실제 동작하는 프로그램을 만들면 운영체제에서 캐쉬라는 기능을 구현할 때 (웹 브라우저의 한 페이지를 다 가져오는데 매번 가져올 때마다 모든 이미지를 가져오게 되면 로딩이 길어지므로 유사 이미지는 pc에 저장해두고 바뀐 데이터만 화면에 표시되도록 해서 시간 단축하는 것 : 캐쉬) // 즉 중복 확인이 쉽기 때문에 중복되지 않은 부분만 업로드하기 수월 

 

 

    • 5. 프로그래밍 연습
  • 연습1: 리스트 변수를 활용해서 해쉬 테이블 구현해보기
    1. 해쉬 함수: key % 8
    2. 해쉬 키 생성: hash(data) // hash 함수 : 넣은 값에 대한 일정한 값을 반환한다 

hash_table = list([0 for i in range(8)])

def get_key(data): // 키 생성
    return hash(data)

def hash_function(key):
    return key % 8

def save_data(data, value):
    hash_address = hash_function(get_key(data)) // 키생성해서 해쉬 함수에 넣는다 
    hash_table[hash_address] = value // hash table에 해당 주소에 value를 넣는다
    
def read_data(data):
    hash_address = hash_function(get_key(data)) // 위와 동일
    return hash_table[hash_address] // 해당 주소에 있는 값을 반호나 

 

save_data('Dave', '0102030200')
save_data('Andy', '01033232200')
read_data('Dave')

0102030200

 

hash_table

['0102030200', 0, 0, 0, 0, 0, 0, '01033232200']
 

6. 충돌(Collision) 해결 알고리즘 (좋은 해쉬 함수 사용하기)

해쉬 테이블의 가장 큰 문제는 충돌(Collision)의 경우입니다. 이 문제를 충돌(Collision) 또는 해쉬 충돌(Hash Collision)이라고 부릅니다.

 

6.1. Chaining 기법

개방 해슁 또는 Open Hashing 기법 중 하나: 해쉬 테이블 저장공간 외의 공간을 활용하는 기법

충돌이 일어나면, 링크드 리스트라는 자료 구조를 사용해서, 링크드 리스트로 데이터를 추가로 뒤에 연결시켜서 저장하는 기법

연습2: 연습1의 해쉬 테이블 코드에 Chaining 기법으로 충돌해결 코드를 추가해보기
1. 해쉬 함수: key % 8
2. 해쉬 키 생성: hash(data)

In [46]:

 


hash_table

 

Out[46]:

[0, 0, [[1341610532875195530, '1201023010'], [-9031202661634252870, '3301023010']], 0, 0, 0, 0, 0]

In [45]:

 


save_data('Dd', '1201023010')save_data('Data', '3301023010')read_data('Dd')

 

Out[45]:

'1201023010'

In [44]:

 


print (hash('Dave') % 8)print (hash('Dd') % 8)print (hash('Data') % 8)

 

0 2 2

In [43]:

 


hash_table = list([0 for i in range(8)])def get_key(data): return hash(data)def hash_function(key): return key % 8def save_data(data, value): index_key = get_key(data) hash_address = hash_function(index_key) if hash_table[hash_address] != 0: for index in range(len(hash_table[hash_address])): if hash_table[hash_address][index][0] == index_key: hash_table[hash_address][index][1] = value return hash_table[hash_address].append([index_key, value]) else: hash_table[hash_address] = [[index_key, value]] def read_data(data): index_key = get_key(data) hash_address = hash_function(index_key) if hash_table[hash_address] != 0: for index in range(len(hash_table[hash_address])): if hash_table[hash_address][index][0] == index_key: return hash_table[hash_address][index][1] return None else: return None

 

  1. In [44]:6.2. Linear Probing 기법 In [17]:SHA-1연습4: 연습2의 Chaining 기법을 적용한 해쉬 테이블 코드에 키 생성 함수를 sha256 해쉬 알고리즘을 사용하도록 변경해보기
    1. 해쉬 함수: key % 8
    2. 해쉬 키 생성: hash(dat
    • 폐쇄 해슁 또는 Close Hashing 기법 중 하나: 해쉬 테이블 저장공간 안에서 충돌 문제를 해결하는 기법
    • 충돌이 일어나면, 해당 hash address의 다음 address부터 맨 처음 나오는 빈공간에 저장하는 기법
      • 저장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기법
  2. 7. 시간 복잡도 해쉬 테이블의 경우, 일반적인 경우를 기대하고 만들기 때문에, 시간 복잡도는 O(1) 이라고 말할 수 있음
    • 16개의 배열에 데이터를 저장하고, 검색할 때 O(n)
    • 16개의 데이터 저장공간을 가진 위의 해쉬 테이블에 데이터를 저장하고, 검색할 때 O(1)
    • 일반적인 경우(Collision이 없는 경우)는 O(1)
    • 최악의 경우(Collision이 모두 발생하는 경우)는 O(n)
  3. 검색에서 해쉬 테이블의 사용 예
  4. In [47]:
  5.  

  6. save_data('da', '01200123123')save_data('dh', '3333333333')read_data('dh')
  7.  
  8. Out[47]:
  9. '3333333333'
  10. In [46]:
  11.  

  12. print (get_key('db') % 8)print (get_key('da') % 8)print (get_key('dh') % 8)
  13.  
  14. 1 2 2
  15. In [45]:
  16.  

  17. import hashlibhash_table = list([0 for i in range(8)])def get_key(data): hash_object = hashlib.sha256() hash_object.update(data.encode()) hex_dig = hash_object.hexdigest() return int(hex_dig, 16)def hash_function(key): return key % 8def save_data(data, value): index_key = get_key(data) hash_address = hash_function(index_key) if hash_table[hash_address] != 0: for index in range(hash_address, len(hash_table)): if hash_table[index] == 0: hash_table[index] = [index_key, value] return elif hash_table[index][0] == index_key: hash_table[index][1] = value return else: hash_table[hash_address] = [index_key, value]def read_data(data): index_key = get_key(data) hash_address = hash_function(index_key) if hash_table[hash_address] != 0: for index in range(hash_address, len(hash_table)): if hash_table[index] == 0: return None elif hash_table[index][0] == index_key: return hash_table[index][1] else: return None
  18.  
  19.  
  20. In [23]:
  21.  

  22. import hashlibdata = 'test'.encode()hash_object = hashlib.sha256()hash_object.update(data)hex_dig = hash_object.hexdigest()print (hex_dig)
  23.  
  24. 9f86d081884c7d659a2feaa0c55ad015a3bf4f1b2b0b822cd15d6c15b0f00a08
  25. SHA-256
  26. In [22]:
  27.  

  28. import hashlibdata = 'test'.encode()hash_object = hashlib.sha1()hash_object.update(data)hex_dig = hash_object.hexdigest()print (hex_dig)
  29.  
  30. a94a8fe5ccb19ba61c4c0873d391e987982fbbd3
  31. 참고: 해쉬 함수와 키 생성 함수
    • 파이썬의 hash() 함수는 실행할 때마다, 값이 달라질 수 있음
    • 유명한 해쉬 함수들이 있음: SHA(Secure Hash Algorithm, 안전한 해시 알고리즘)
      • 어떤 데이터도 유일한 고정된 크기의 고정값을 리턴해주므로, 해쉬 함수로 유용하게 활용 가능
  32.  

  33. save_data('dk', '01200123123')save_data('da', '3333333333')read_data('dc')
  34.  
  35.  
  36. 6.3. 빈번한 충돌을 개선하는 기법
    • 해쉬 함수을 재정의 및 해쉬 테이블 저장공간을 확대
    • 예:
    hash_table = list([None for i in range(16)]) def hash_function(key): return key % 16
  37. In [16]:
  38.  

  39. print (hash('dk') % 8)print (hash('da') % 8)print (hash('dc') % 8)
  40.  
  41. 4 4 4
  42. In [9]:
  43.  

  44. hash_table = list([0 for i in range(8)])def get_key(data): return hash(data)def hash_function(key): return key % 8def save_data(data, value): index_key = get_key(data) hash_address = hash_function(index_key) if hash_table[hash_address] != 0: for index in range(hash_address, len(hash_table)): if hash_table[index] == 0: hash_table[index] = [index_key, value] return elif hash_table[index][0] == index_key: hash_table[index][1] = value return else: hash_table[hash_address] = [index_key, value]def read_data(data): index_key = get_key(data) hash_address = hash_function(index_key) if hash_table[hash_address] != 0: for index in range(hash_address, len(hash_table)): if hash_table[index] == 0: return None elif hash_table[index][0] == index_key: return hash_table[index][1] else: return None
  45.  
  46.  
  47. 연습3: 연습1의 해쉬 테이블 코드에 Linear Probling 기법으로 충돌해결 코드를 추가해보기
    1. 해쉬 함수: key % 8
    2. 해쉬 키 생성: hash(data)
  48. In [46]:
  49.  

  50. hash_table
  51.  
  52. Out[46]:
  53. [0, 0, [[1341610532875195530, '1201023010'], [-9031202661634252870, '3301023010']], 0, 0, 0, 0, 0]
  54.  

  55. print (hash('Dave') % 8)print (hash('Dd') % 8)print (hash('Data') % 8)
  56.  
  57. 0 2 2
  58. In [45]:
  59.  

  60. save_data('Dd', '1201023010')save_data('Data', '3301023010')read_data('Dd')
  61.  
  62. Out[45]:
  63. '1201023010'
  64. 해쉬 테이블의 가장 큰 문제는 충돌(Collision)의 경우입니다. 이 문제를 충돌(Collision) 또는 해쉬 충돌(Hash Collision)이라고 부릅니다.
  65. In [43]:
  66.  

  67. hash_table = list([0 for i in range(8)])def get_key(data): return hash(data)def hash_function(key): return key % 8def save_data(data, value): index_key = get_key(data) hash_address = hash_function(index_key) if hash_table[hash_address] != 0: for index in range(len(hash_table[hash_address])): if hash_table[hash_address][index][0] == index_key: hash_table[hash_address][index][1] = value return hash_table[hash_address].append([index_key, value]) else: hash_table[hash_address] = [[index_key, value]] def read_data(data): index_key = get_key(data) hash_address = hash_function(index_key) if hash_table[hash_address] != 0: for index in range(len(hash_table[hash_address])): if hash_table[hash_address][index][0] == index_key: return hash_table[hash_address][index][1] return None else: return None
  68.  
  69.  
  70. 연습2: 연습1의 해쉬 테이블 코드에 Chaining 기법으로 충돌해결 코드를 추가해보기
    1. 해쉬 함수: key % 8
    2. 해쉬 키 생성: hash(data)
  71. 6.1. Chaining 기법
    • 개방 해슁 또는 Open Hashing 기법 중 하나: 해쉬 테이블 저장공간 외의 공간을 활용하는 기법
    • 충돌이 일어나면, 링크드 리스트라는 자료 구조를 사용해서, 링크드 리스트로 데이터를 추가로 뒤에 연결시켜서 저장하는 기법
  72. In [19]:
  73.  

  74. hash_table
  75.  
  76. Out[19]:
  77. ['0102030200', 0, 0, 0, 0, 0, 0, '01033232200']
  78. In [18]:
  79.  

  80. save_data('Dave', '0102030200')save_data('Andy', '01033232200')read_data('Dave')
  81.  
  82. Out[18]:
  83. '0102030200'
  84. In [17]:
  85.  

  86. hash_table = list([0 for i in range(8)])def get_key(data): return hash(data)def hash_function(key): return key % 8def save_data(data, value): hash_address = hash_function(get_key(data)) hash_table[hash_address] = value def read_data(data): hash_address = hash_function(get_key(data)) return hash_table[hash_address]
  87.  
  88.  
  89. 연습1: 리스트 변수를 활용해서 해쉬 테이블 구현해보기
    1. 해쉬 함수: key % 8
    2. 해쉬 키 생성: hash(data)
  90. 4. 자료 구조 해쉬 테이블의 장단점과 주요 용도
    • 장점
      • 데이터 저장/읽기 속도가 빠르다. (검색 속도가 빠르다.)
      • 해쉬는 키에 대한 데이터가 있는지(중복) 확인이 쉬움
    • 단점
      • 일반적으로 저장공간이 좀더 많이 필요하다.
      • 여러 키에 해당하는 주소가 동일할 경우 충돌을 해결하기 위한 별도 자료구조가 필요함
    • 주요 용도
      • 검색이 많이 필요한 경우
      • 저장, 삭제, 읽기가 빈번한 경우
      • 캐쉬 구현시 (중복 확인이 쉽기 때문)
  91. In [14]:
  92.  

  93. get_data('Andy')
  94.  
  95. Out[14]:
  96. '01055553333'
  97. In [13]:
  98.  

  99. def get_data(data): key = ord(data[0]) hash_address = hash_func(key) return hash_table[hash_address]
  100.  
  101.  
  102. In [12]:
  103.  

  104. storage_data('Andy', '01055553333')storage_data('Dave', '01044443333')storage_data('Trump', '01022223333')
  105.  
  106.  
  107. 3.4. 해쉬 테이블에서 특정 주소의 데이터를 가져오는 함수도 만들어봅니다.
  108. In [10]:
  109.  

  110. def storage_data(data, value): key = ord(data[0]) hash_address = hash_func(key) hash_table[hash_address] = value
  111.  
  112.  
  113. In [15]:
  114.  

  115. data1 = 'Andy'data2 = 'Dave'data3 = 'Trump'data4 = 'Anthor'## ord(): 문자의 ASCII(아스키)코드 리턴print (ord(data1[0]), ord(data2[0]), ord(data3[0]))print (ord(data1[0]), hash_func(ord(data1[0])))print (ord(data1[0]), ord(data4[0]))
  116.  
  117. 65 68 84 65 0 65 65
  118. 3.3. 해쉬 테이블에 저장해보겠습니다.
    • 데이터에 따라 필요시 key 생성 방법 정의가 필요함
  119. In [7]:
  120.  

  121. def hash_func(key): return key % 5
  122.  
  123.  
  124. In [1]:
  125.  

  126. hash_table = list([i for i in range(10)])hash_table
  127.  
  128. Out[1]:
  129. [0, 0, 0, 0, 0, 0, 0, 0, 0, 0]
  130. 3.1. hash table 만들기
  131. 3. 간단한 해쉬 예
  • In [19]:
  •  

  • hash_table
  •  
  • Out[19]:
  • ['0102030200', 0, 0, 0, 0, 0, 0, '01033232200']
  • In [18]:
  •  

  • save_data('Dave', '0102030200')save_data('Andy', '01033232200')read_data('Dave')
  •  
  • Out[18]:
  • '0102030200'
  • In [17]:
  •  

  • hash_table = list([0 for i in range(8)])def get_key(data): return hash(data)def hash_function(key): return key % 8def save_data(data, value): hash_address = hash_function(get_key(data)) hash_table[hash_address] = value def read_data(data): hash_address = hash_function(get_key(data)) return hash_table[hash_address]
  •  
  •