패캠 네카라쿠배 도전: HTML CSS

[패스트캠퍼스 네카라쿠배 2기 도전] CSS

닉네임이 멋이 중헌디 2021. 5. 14. 21:54

CSS 문법 

1. 선택자 

2. 속성 

3. 값 

 

div{ 

 font-sized: 20px; 

 color: red;

 

선택자{ 

  속성: 값; 

  속성: 값; 

 

선택자가 가리키는 태그의 내용의 해당 속성을 해당 값으로 바꿔준다는 의미 

 

1. 선택자의 역할 

선택자(selector)는 html에 스타일(css)을 적용하기 위해 html의 특정 요소를 선택하는 사인이다. 

태그의 이름을 쓸 수 있다 

ex. <div> 

          <h1> 

             <p> 

     </div> 

 

css 

h1{ 

 color(속성) : red (값); 

p{

  color: blue; 

}

 

2. 속성(property)과 값(value) 

html의 속성은 attribute라고 한다  

속성 = 값

 

div{ 

 color: red; 

 font-size: 글자 크기 

 width: 가로 너비 

 margin: 바깥 여백 

 padding: 안쪽 여백 위아래 좌우 

 postion: 위치는 부모 요소 기준 

}

 

3. 속성과 값 선언하는 방법 

1) 태그에 직접 작성하기 : 인라인 

html 태그에 직접 작성하기 때문에 선택자가 필요하지 않다 

하지만 같은 내용을 모든 태그에 직접 쓰면 매우 비효율적이다 

또 나중에 수정해야 할 때 모든 태그에 직접 수정을 해야 한다. 

JS가 html에 직접 css를 삽입할 때 이런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. (이때도 여러 개를 한꺼번에 삽입할 수 있다)

<div style = "color: red;"> 내용 </div>

<div 속성 = "값">내용</div>=> 선택자 

 

2) html에 포함하기 : 내장 (embed) 

CSS만 따로 작헝하기 때문에 선택자가 필요하다 

CSS 코드가 html <head>태그 안에 <style>태그 안에 들어가야 한다. 

<head> 

    <style> 

        div{ 

           color: red; 

        } 

     </style>

</head> 

 <body>

     <div> </div>

     

3) html 외부에서 불러오기

css 코드를 완전히 분리할 수 있다

분리된 하나의 css 파일을 여러 html 파일이 불러와서 사용할 수 있다

 

 

4. 선택자 

html의 특정한 요소를 선택하는 사인 

두가지 종류 

1)태그로 찾기 : h1, p 

=> 앞에 아무런 기호 필요 없음

=>but 같은 태그를 쓰고 있는 요소가 많으면 어려움

2)클래스로 찾기 : .title, .main-text

좀 더 명확하게 원하는 요소를 찾기 위해 클래스 선택자 사용

태그 이름이 아니라 태그 안에 있는 클래스 선택자

두개를 넣고 싶으면 box box2 이렇게 사이에 띄어쓰기를 해서 넣으면 된다

ex. <h1 class = "title"> 제목1 </h1>

<p class = "main-text">본문1</p>

 

5. 속성 

: 크기, 여백, 색상 같은 눈에 보이는 스타일 지정 가능 

선택자 { 

    속성: 값; 

  } 

1)크기 

- width

(가로 너비): 너비값 

 단위는 px(픽셀)을 사용한다

-  height

(세로 너비): 너비값

단위 px(픽셀)

- font-size

(글자 크기): px

=> 기본은 16px로 지정되어 있다

- margin

(바깥 여백: 요소와 요소 사이의 여백 (거리, 공간)) 

margin: 20px로 하면 위,아래,왼,오가 모두 같고 

만약 다 다르게 넣고 싶으면 -top, -right, -bottom, -left로 가능 [개별 속성]

이를 아우르는 것을 단축 속성이라고 한다 

-padding 

내부 여백 : 자식 요소를 감싸는 여백을 의미한다 

padding : 20px; 

 

2)색상

color

요소 내용의 글자 색상을 지정 

font-color, text-color(X)

 

background

요소의 배경 색상 지정 

역시 단축 속성(위치 등 더 제정할 수 있다) 

background-color